• 홈

농업관련 일자리 5년간 116만개 필요… 영농분야 창업청년 기본수당 지급해야

작성자 : 슈퍼관리자 / 날짜 : 2017.06.21

상의 ‘농업-농촌 일자리’ 토론회

 

농업 및 관련 산업(유통 등)에서 향후 5년간 116만 개의 일자리 창출이 가능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하지만 이 분야 종사자들의 임금은 여전히 열악한 수준에 머무는 만큼 낮은 임금을 보전하는 차원에서라도 영농 분야에서 창업하는 청년들에게 기본 수당을 지급하자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농업 특성상 이직률이 높지 않은 점을 감안할 때 조금만 생계 보조를 해 주면 농업에서 오래 일하며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14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농업·농촌의 일자리 창출 가능성과 새로운 도전’ 토론회에서는 농업의 고용상황을 점검하고 청년 일자리를 늘리기 위한 방안이 논의됐다.  

전체 산업 중에서 농업 및 관련 분야에 고용된 인력은 17.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상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농업 및 관련 산업은 전체 고용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정부가 정책을 어떻게 펼치느냐에 따라 청년 고용 여건을 크게 좌우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은퇴 인력 등을 감안하면 2023년까지 생산과 서비스, 가공, 외식 등에 116만여 명의 인력이 더 필요하다”고 밝혔다.

2013년 기준으로 농업 생산과 서비스, 가공과 외식 등에 종사하는 인력은 396만3000명 정도다. 


이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외식 종사자는 154만9000명, 농업 생산에 종사하는 사람은 141만8000명이었다. 2023년이 되면 필요한 인력은 398만7000명으로 늘어나지만 110만 명 이상이 은퇴해 인력이 필요하다는 계산이 나온다.

특히 서비스업 분야의 고용이 증가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도채 농경연 부연구위원은 “2014년 농촌에서 전문기술 교육이나 시설관리, 사회복지 등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사람이 2006년의 배 이상으로 증가했다”면서 “서비스 직종에 청년들이 유입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인력이 필요한 데 반해 농업 분야의 일자리 질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시간이 길고 복지여건도 미흡한 데다 농업 분야 종사자의 상당수가 학교 전공과 관련이 없어 다른 분야에 비해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고용의 질을 개선하고 복지여건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마 연구위원은 “유럽이나 일본처럼 40세 미만의 영농경력 5년 이하 창업자에게 기본 수당을 지급해 경영 안정을 유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임정빈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는 “정부가 어떤 일자리가 부족한지 정확하게 예측해 수요와 공급을 연결하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혜령 기자 herstor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