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롭게 돌아온 청경채!
오늘의 반찬은? 청경채 뉴스~!ƪ(˘⌣˘)ʃ
청년들을 위한 뉴스를 가득 안고
오늘도 흥미로운 시사 이야기를 들려줄게!
2월 둘째주 경제뉴스 PICK은
토픽 1. 중국 유명 직구 쇼핑몰 ‘중국 한복’ 판매
토픽 2. 진짜보다 더 진짜같은 딥페이크
토픽 1. 중국 유명 직구 쇼핑몰 ‘중국 한복’ 판매
한복을 검색하면 한푸가 나온다?
해외 고객을 대상으로 영업하는 중국 유명 직구 쇼핑몰이
‘중국 한복’이라는 항목을 만들어
중국 전통의상 ‘한푸’를 판매하고 있어요.
‘한복’을 검색하면 ‘한푸’도 함께 검색되고 있어
외국인들에게 오해를 불러 일으킬 수 있는 상황이에요.
한국 소비자에 대한 기만 행위
과거에 비슷한 사례로 중국 스마트폰 업체
샤오미가 스마트폰 배경화면 스토어에서 한복을
‘중국 문화’(China Culture)로 소개해 논란이 된 바가 있어요.
서경덕 성신여대교수는 이를 한국 소비자에 대한 기만 행위라고 비판했어요.
문화 존중의 필요성
서 교수는 “중국 기업이 한국인을 대상으로 장사를 한다면
한국의 문화와 역사를 먼저 존중할 줄 아는 최소한의 예의를
지켜야만 하는데 전혀 그런 모습이 보이질 않고 있다”며
“알리와 테무는 빠른 시정을 해야만 할 것이며, 앞으로
우리 소비자들도 정신을 바짝 차려야만 할 것”이라고 강조했어요.
토픽 2. 진짜보다 더 진짜같은 딥페이크
진짜를 몰아내는 딥페이크 기술
세계적으로 딥페이크에 대한 이슈가 끊이질 않고 있어요.
최근 금융그룹의 홍콩지부 직원이 딥페이크에 속아
2억 홍콩달러(약 342억 원)를 송금하는 사기를 당했다고 해요.
또 지난달 말엔 팝스타 테일러 스위프트의 딥페이크
음란 이미지가 소셜미디어로 확산돼미국이 발칵 뒤집히기도 했어요.
가려낼 수 있을까?
맥락을 잘 살피면 딥페이크를 가려낼 수 있다’고 자신한다면 오산이에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선 딥페이크가 교란의 도구로 쓰이기도 했어요.
양국 대통령이 각각 항복하거나 평화를 선언하는 영상을
비롯해 적잖은 딥페이크가 제작됐죠.
한 연구진이 전쟁 초기 트윗을 분석한 결과, 미디어의 진짜 보도에
‘딥페이크’나 ‘가짜뉴스’라고 잘못된 딱지를 붙인 사례가
조작된 딥페이크 게시물을 잡아낸 것보다 오히려 더 많았다고 해요
혼선 그 자체인 세상
딥페이크가 공신력 있는 매체로 유통되면서 혼란은 더욱 증폭되고 있어요.
지난해 러시아 일부 지역 TV와 라디오에선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 연설 딥페이크 영상이 방송되었고
일부 주민들은 실제로 대피하기도했어요.
후방 교란 작전이 성공한 것이죠. 페이크 등 허위·조작정보를
가려내는 전통 미디어의 어깨가 더욱 무거워질 전망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