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꿀팁

청년꿀팁

╰(‵□′)╯퇴사 준비 A to Z (2025 ver.)

작성자 : 청년드림 / 날짜 : 2025.10.17

 

1. 퇴사 전에 꼭 받아야 하는 서류

 

-> 이건 진짜 퇴사 전에 받아야하는 것들이니까 미리미리 준비하자!

 

퇴사 후에는 다시 달라고 연락하기도 곤란하잖아( ̄︿ ̄)

그룹웨어 접근 끊기면 끝이야(ᗒᗣᗕ)՞(ᗒᗣᗕ)՞

 

 

재직증명서

은행, 카드, 통신사에서 “직장 다니는 중임” 증빙할 때 필요함

퇴사 후엔 ‘재직 중’ 문구가 사라져서 의미 없어짐

 

경력증명서

이직할 때, 공공기관 지원할 때, 포트폴리오 증빙으로도 씀

담당 직무·기간·성과까지 정확히 적혀야 나중에 도움됨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

전 직장 소득을 다음 회사 연말정산에 합산할 때 필수

퇴사 후에도 홈택스에서 볼 수 있지만, 회사에서 바로 받는 게 제일 편함

 

급여명세서 (최근 3~12개월)

연장수당, 연차수당 누락 확인용

대출이나 임대차 계약할 때도 자주 요구함

 

근로계약서, 인사평가 기록

근무조건이나 임금 관련 문제 생겼을 때 증거로 사용 가능

인사팀에서 ‘사본 요청’ 하면 대부분 바로 줌

 

사직서 사본

제출 후 ‘사직일자’, ‘수리 날짜’ 확인용으로 남겨두기

 

 

 

2. 퇴직금 관련 기본

 

1년 이상 근무 + 주 15시간 이상이면 무조건 지급

 

계산은 최근 3개월 평균임금 기준

 

퇴사 후 14일 이내 입금돼야 하고, 지연 시 이자 붙음

 

1년 딱 채우기 직전이라면, 퇴사일 조정해서 기간 채우는 게 훨씬 유리함

 

 

3. 연차정산

 

입사 1년 미만 → 매달 1개씩 발생 (최대 11일)

 

1년 이상 → 연 15일 발생, 출근율 80% 이상 조건

 

퇴사할 땐 안 쓴 연차를 수당으로 정산받거나 휴가로 사용 가능

 

 

4. 금융 관련 (퇴사 전 미리)

 

 

급여통장 한도 해제 / 주거래 지정

퇴사 후엔 소득증명 안 돼서 한도 제한 걸릴 수도 있음

재직 중 미리 풀기

 

카드 / 대출 신규 신청 제한

무직 기간엔 승인 어려움

필요하면 퇴사 전에 신청해두는 게 나아

 

직장인 전용 대출

일부는 퇴사 즉시 상환 조건 있음 → 약관 확인 필수

 

 

5. 4대보험 & 실업급여

 

 

국민연금

공백기엔 납부예외신청 가능 (온라인/공단 방문)

재취업하면 바로 재개 신고해야 함

 

건강보험

기본적으로 지역가입자로 전환됨

조건 맞으면 부모님 밑 피부양자 등록 가능(소득·재산 기준 있음)

일정 기간은 임의계속가입제도로 직장보험료 유지도 가능

 

실업급여(구직급여)

자발적 퇴사는 원칙적으로 불가,

하지만 ‘임금체불, 괴롭힘, 건강사유’ 등은 예외 인정 가능

단, 정규직은 지금 제도 개편 논의 중이라 조금만 기다려보는 것도 좋음

(2025년 하반기 기준: 관련 지침 일부 검토 중, 확정 전임)

 

 

 

6. 퇴사 타이밍 팁

 

2월 포함 퇴사 → 근무일 짧아서 평균임금 ↑ (퇴직금 유리)

 

연초 퇴사 → 명절·성과급 포함될 가능성 있음

 

금요일 퇴사 → 주휴수당 빠질 수 있음 → 월요일 퇴사가 안전함

 

 

 

마지막으로 꼭 기억할 것

 

서류는 퇴사 전에만 100% 완전하게 확보 가능

 

돈(퇴직금·수당)은 법으로 보장되지만,

서류·보험·계좌는 내가 챙기지 않으면 누구도 안 챙겨줌

 

퇴사도 ‘정리’의 기술이야. 미리 준비해서 후회없도록하자!

 

 

 

Copyright Ⓒ 청년드림.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