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조사는 45개 대학의 학생과 취업지원 담당자를 대상으로 진로 및 취/창업 지원을 위한 교육 환경을 평가함으로써 기존의 연구기반 중심의 평가가 아닌 각 대학이 실제로 지원하고 있는 교육 서비스를 중심으로 종합 분석하고자 함
- 이를 통해 선진국형 대학 평가를 주도하고 향후 우수 대학 격려를 통한 대학의 혁신 노력을 제고함
| 2017년 | 1차 | 2차 | 3차 |
|---|---|---|---|
| 평가대상 | 4년제 대학 227개교 | 50개교 선정 | 상위1(10개) 상위2(15개) 그룹핑 25개 청년드림대학 선정 |
| 평가 지표 | 4개영역 30개 지표 | 4개영역 12개 지표 | 취업률/유지취업률 |
| 방법 | 대학알리미 추출평가 표준점수 환산 활용 | 교직원 설문 - 평가수치 추출 학생(4학년100명) 설문 - 필요도 추출 |
2차 결과 및 취업률 교차평가 |
| 평가지표 | ||
|---|---|---|
| 인적 자원 | 전임교원 1인당 학생수 (역산) |
|
| 전임교원 확보율 |
|
|
| 전임교원 연구실적 |
|
|
| 산업체 경력 전임교원 규모 |
|
|
| 산학연계 인력 규모 |
|
|
| 창업지원인력 규모 |
|
|
| 창업교육센터 인력 규모 |
|
|
| 물적 자원 | 학생 1인당 자료구입비 |
|
| 장서 보유 |
|
|
| 장학금 수혜 현황 |
|
|
| 재정지원사업 수혜 실적 |
|
|
| 창업지원액수 |
|
|
| 교육 지원 | 인성(사회봉사) 강화 |
|
| 중도탈락율 (역산) |
|
|
| 현장실무역량 강화 |
|
|
| 캡스톤 디자인(창의적 설계) 운영 |
|
|
| 사회맞춤형 교육과정 |
|
|
| 창업 지원 교육 |
|
|
| 창업지원 |
|
|
| 취창업 성과 | 취업률 | |
| 취업유지율 |
|
|
| 창업규모 |
|
|
| 실태조사 지표 | ||
|---|---|---|
| 진로취창업지원 인프라 |
대학 진로취창업 지원 계획 |
|
| 대학 진로취창업지원 인력 및 조직 |
|
|
| 진로취창업지원 관련 학사제도 |
|
|
| 진로취창업지원 교육 |
진로지도를 위한 교육과정 |
|
| 취업지원을 위한 교육과정 |
|
|
| 창업지원을 위한 교육과정 |
|
|
| 진로취창업지원 서비스 |
진로취창업지원 프로그램 및 서비스 |
|
| 교수의 진로취창업 지원 |
|
|
| 온라인경력개발지원시스템 |
|
|
| 진로취창업지원 네트워크 |
기업체(취업처)와의 네트워크 |
|
| 지역사회와의 네트워크 |
|
|
| 졸업생과의 네트워크 |
|
|